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역경제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지역경제를 구성하는 산업 측면의 분석에만 치우쳐 왔다. 지식경제 하에서 지역의 창의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인적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의 인적구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직종분포에 대한 관심은 그리 크지 않은 편이었다. 그러나 지역경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선 지역경제를 구성하는 산업과 직종을 함께 아우르는 입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연구는 최근 들어 지역경제 및 지역정책 분야에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창의경제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창의성이라는 측면에서 지역경제를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를 시도하고 이를 우리나라 일곱 개 광역시의 지역경제 분석에 응용하였다.


Most existing studies on the regional economy focus mainly on the industry perspective. However, under the creative economy, for which human resources plays a pivotal role, it is imperative to incorporate the occupation perspective in the regional economic analysis. To better understand today's creative economy, a new approach with a multiple dimension of industry and occupation is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 of the creative economy and explore a new method for the regional economic analysis from both industry and occupation perspectives. Applications of the new approach to the seven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re illust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