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공공경제의 본질적 원리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시장의 자율적 원리로 알려진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철저한 고찰을 통해 정부의 공공경제정책의 방향에 대한 철학적・규범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철저한 문헌고찰을 위해 “보이지 않는 손”이 등장한 「도덕정서론」등과 함께, 정부의 경제적 역할에 대한 고전인 「국부론」에 대한 전자문서 텍스트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애덤 스미스는 “이기심”으로 이해되어온 “self-love”를 “selfish(ness)”와 분명히 구분하였음이 발견되었다. 텍스트 분석 및 문헌고찰 결과는 “보이지 않는 손”을 움직이는 것이 ‘합리적 시장참여자 간’의 “이기심”이 아니라 ‘도덕적 사회성원 주체 상호간’의 “자기애”와 이에 대한 따듯한 “공감”임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꿀벌들의 본능”보다는 ‘적정한 자기애’(의 함양)를 바탕으로, 규범적 효율성(normative efficiency)에 대한 사회적 합의 및 제도형성에 있어 실천적 지혜가 필요함이 논의되었다.


Toward theoretical and normative implications regarding “proper” government interventions, this study conducts a textual analysis of Adam Smith’s books (in electronic form), which have been widely regarded as classics in studies of public and private wealth. The findings suggest that Adam Smith distinguished “self-love” from “selfish(ness),” so that the “sense of propriety” to incorporate reason and sensibility should be nurtured in order to synergize “rationalistic” private interests into “inter-subjectively sympathetic” public welfare. This paper concludes with a recommendation that “proper self-love,” not “the instinct of the bees,” should be the theoretical and normative ground for governmental policy and institutionalization, together with social consensus on liberty and normative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