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제부처 개편에 초점을 맞춘 이명박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은 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 및 권력관계를 어떻게 변화시켰을까? 이 논문은 이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분석기법의 다각화와 자료의 다각화(양적 자료, 질적 자료)를 꾀하여 네트워크 분석과 권력관계 분석을 다양화(네트워크 구조 분석, 권력지수 비교 분석, 엘리트 인식조사)하였다는 데 특징이 있다. 다각적인 분석결과, 이명박 정부의 조직개편이 기존의 질서를 두드러지게 바꾸어 놓았고, 주요 경제부처(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의 위상을 비약적으로 강화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치권력이 책임정치를 실현하고 ‘정책 대응성(policy responsiveness)’을 높이기 위해 단행한 정부조직 개편이, 당초 취지와는 달리 경제 관료들의 힘만 키워준 결과로 귀결된 것은 아닌지 성찰하게 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기획재정부의 뚜렷한 권력 신장은 국회의 검토보고(2008)에서 지적된 위험성을 환기할 때, 각별한 주의와 대처가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performed by the Lee Administration, focusing on ministries with economic func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inistry of Knowledge, Ministry of Economy, and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 order to enhance the validity of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study applies triangulation, which analyzes the same phenomenon (i.e., the reorganization) with three methodological approaches: social network analysis, power index analysis, and the elite option method. These three analyses converge on the same results, which confirms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estige of economic ministries after the Lee Administration reorganiz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organization, which was meant to enhance policy responsiveness to citizen demand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power of economic bureauc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