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공정성의 하위차원들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찰조직에서 분배・절차・상호작용공정성은 차별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인식수준에 있어서 절차와 상호작용공정성의 평균은 보통(3) 이하로 나타났다. 둘째, 분배와 절차공정성 인식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상호작용공정성 인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공정성 인식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정체성은 정(+)의 조절효과를 갖고 직무이해도는 부(-)의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에 대하여 분배공정성은 경찰조직의 보수체계와 성과급제도 측면에서, 절차 공정성은 레드테이프(red tape) 측면에서 설명하였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은 계급제에서 비롯된 위계적 조직문화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결국,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공정성 관련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경찰조직의 공정성 제고를 위해서는 중간관리자층을 대상으로 한 인간관계 측면에 대한 교육과 조직 내 경직성과 형식주의 제거를 위한 노력이 기울여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factor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justice were extracted, and the average level of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perception was lower than that of distributive justice. Second, perception of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perception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ask identity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job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