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96년 이후의 경쟁체제 도입으로 인한 공기업 인사시스템의 조직변화가 구성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국내 공기업의 구성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계약위반이 구성원의 이직의도와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장가족주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함으로써 인지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와 조직헌신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정서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다중집단분석을 시행하여 직장가족주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지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과 정서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고, 인지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조직헌신에 부(-)의 영향을, 정서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인지 및 정서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 조직헌신 간 영향관계에서 직장가족주의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차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부(-)의 영향이 직장가족주의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부터 한국 행정에서 꾸준하게 논의되었지만 실증분석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직장가족주의를 조절변수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직장가족주의가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지한 조직구성원의 조직헌신 감소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Since 1996 public enterprises in Korea have adopted a competitive system of personnel management, which has led to organizational change within the personnel system of those enterprises. This study considers the negative impact of this change on th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Members of public enterprises were surveyed,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exit and organizational dedication. To obviate measurement error,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latent mean analysis. One result of the study demonstrated the foll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organizational dedication,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exit. Analysis performed using a moderator variable showed that the higher the workplace familism of organization members, the weaker the neg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organizational dedic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workplace familism is a crucial and significant variable weakening the negative impact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work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