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폐기학습의 이론적 문제의식과 처방이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의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될 수 있는가와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에 유효한 함의가 있는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방법론으로는재해재난정책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강조하는 주된 문제점에 대한 문헌들을 검토한 후 재해재난의 특성,예방계획의 원칙, 그리고 관리원칙을 폐기학습 이론이 전제하는 행정환경과 권유하는 관리원칙간의 이론적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론들에 대한 분석결과 재해재난의 특성과 폐기학습 이론이 전제하는 환경속성과의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누적성과 복잡성에서 높은 연관성이 나타났다. 재해재난의 예방계획의 원칙과 관리원칙에서도 폐기학습 이론이 권유하는 관리원칙이 미래예측이나 위급상황, 과정, 의사결정, 조정, 인력과 자원관리 등에서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불확실성, 상황적합성에 따른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론들의 일상적이고 본질적 기능수행, 보편적인 일반원칙 등에서는 폐기학습 이론과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재해재난정책대상 분야에서는 상당 부분 폐기학습 이론과의 연관성이 확인된 만큼 폐기학습 이론의 정책적 함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폐기학습 이론이 전제하는 환경속성이나 권유하는 관리원칙들이 우리나라의 재해재난분야의 환경문제나 예방계획 및 관리문제를 개선하고 우리나라 재해재난분야의 특성 및 예방계획의 원칙이나 관리원칙 분야에 보완이나 대체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려, 향후에 폐기학습 이론이 우리나라 재해재난의 정책대상 분야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unlearning theory problem awareness and treatment could improve South Korea’s disaster management policy and if the theory has valid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disaster management policy. The most quoted and emphasized main references were analyzed by associating disaster characteristics, prevention plan principles, and management principles with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management policy, which are the prerequisites of unlearning theory.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disaster characteristics and unlearning theory’s prerequisite environment properties, and accumulation and complexity were revealed to have especially high relevance. In the disaster prevention plan principle and management principle the management policy recommended by unlearning theory revealed high relevance with future prediction, emergency situation, process, decision making, adjustment, manpower, resource management, etc., because different changes and innovations were required based on uncertainty and situational compliance. However, the execution of routine and essential functions, common general principles, etc., did not show much relevance with unlearning theory. Nevertheless, since the relevance with unlearning theory was confirmed with a significant portion in the area of subject policy, we propose that there is a high implication of the usefulness of unlearning theory for polic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erequisite environment properties and the recommended management principles of unlearning theory can improve South Korea’s disaster field environment issues, prevention plan, and management problems, and can supplement or replace the disaster field’s characteristic and prevention plan principle or the management principle field. We propose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unlearning theory into South Korea’s disaster policy subject fiel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