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정지원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인증 사회적기업에 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에 대한 다양한 외부지원금이 사회적기업의 일자리사업 참여자수, 자체 근로자수, 일자리사업 참여자와 자체 근로자수의 총합, 취약계층 추가 고용수, 일반인 추가 고용수 등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일자리사업 참여자수와 자체 근로자수를 합한 총고용 증가에 다양한 유형의 외부지원금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자리사업 참여자수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 타 부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체 근로자 고용 증대에 있어서는 지방자치단체, 타 기업 후원,모기관, 일반기부 등에 의한 지원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방자치단체는 일자리사업 참여자수 증대뿐만 아니라 자체 근로자수 증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사회적기업의 고용 증대에 있어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사회적기업이 처한 상황이나 조건, 지역 특성 등을 좀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더 강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기업이 일자리사업이나 자체 고용을 통한 고용 창출에 추가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취약계층과 일반인에 대한 추가 고용을 늘리는 데에는 타 기업의 후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에서 비즈니스 동반자로서 타 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은 사회적기업이 추가적인 고용을 통해 기업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는데 매우 긍정적인 요소임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향후 사회적기업들은 외부 기업들로부터 필요한 지원을 제공받음으로써 자체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에서 지속가능한 기업활동을 영위해나갈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시장에서 성공적인 기업활동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들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공유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적기업들과의 네트워킹 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회적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서비스와 후원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job creation by using data on 626 social enterprises in South Korea. Before empirically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job creation, this study reviews the literature concerning social enterprises, creation of employ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job creation. Results from regression models that simultaneously control for factors that are theorized to affect employment within social enterprises at both firm and regionallevels indicate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a variety of types of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job creation by social enterprises. Results of this study also imply that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particular effort to promote job creation by social enterprises because local governments possess the ability to efficiently respond to the immediate needs of local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ach social enterprise needs to build networks with other social enterprises and firms to get information and financial support for creation of 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