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9년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어 재외국민에게도 참정권이 주어졌다. 재외국민 참정권은 유신체제의 시작과 함께 폐지되었다가, 참정권요구가 1997년 다시 제기되었는데,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입법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1997년과 2004/2005년, 2차례에 걸친 재외국민의 헌법소원이 있었고, 헌법재판소는 1차의 헌법소원은 1999년 기각하였으나, 2차의 헌법소원에 대해서는 2007년 현행 선거법의 헌법불합치 판정을 내려 정부에게 입법화할 것을 강요함으로써 2009년 입법화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의제설정 과정이론은 이를 적절히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논문은 콥과 엘더의 고전적 의사설정 모델, 킹던의 다중흐름 모델, 윌슨의 정책별 정치유형론을 통합한 의제설정 통합분석틀을 제시하고, 한국의 특수성(민주화의 전개와 헌법재판소의 역할)에 주목하여, 재외국민의 참정권부여를 사법부에 의한 강요된 의제설정으로 분석하였다. 또, 강요된 의제설정을 기존의 의제설정방식과 비교하여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The revis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2009 enfranchised overseas Koreans, who had not had the right to vote in Korean elections since 1972. Despite many obstacles, overseas Koreans regained the right after the Constitutional Court determined the right should be given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This case is puzzling in two aspects. First, overseas Koreans, scattered around the world, do not have enough resources to push the issue onto the government agenda. How was this possible? Second, they achieved it by appealing to the court. That process is not easily explained by existing theories of agenda-setting. To explain the enfranchisement, which we call a case of “forced agenda-setting,” we build an integrated model of agenda-setting, which combines theoretical elements of the following: Cobb & Elder’s stages of agenda-setting, the contingent nature of decision making as explained by the multiple streams model, and J. Q. Wilson’s types of politics. To understand the Korean policy context, we also introduced the particular institutional context; i.e., the dynamics of democratization and its impact on the ri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We think the integrated model is a useful guide for research into diverse agenda-setting, especially forced agenda-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