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구들을 대상으로 보험 가입이 가계의 위험금융자산 보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내 가구들이 보험을 가계 포트폴리오 관리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증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구들의 보험 가입과 위험금융자산 보유 간의 관계를 최초로 실증 분석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실증분석 방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보험의 가입은 가계 위험금융자산의 보유 유무 및 보유 정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보장성보험의 가입은 위험금융자산의 보유 유무 및 보유 정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저축성보험 가입의 경우는 보장성보험 가입에 비하여 유의성이 낮다. 셋째, 다중회귀 분석에서 보험료와 log근로소득의 교차항의 계수가 음수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소득 수준과 보험료 납입금이 위험금융자산의 보유 정도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근로소득이 낮을 때에는 보험료 납입액과 위험금융자산의 보유 정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나, 근로소득이 높을 때에는 보험료 납입액이 위험금융자산의 보유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households' insurance coverage holdings on risky financial asset holdings. This paper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households' insurance coverage holdings and risky financial asset holding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urance coverage holdings and risky financial asset holdings. More specifically, households who possess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are more likely to hold larger risky financial assets than households without insurance coverage, and, households who possess larger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are more likely to hold larger risky financial assets. However, the level of savings type insurance holdings shows low or no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risky financial asset holdings.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ing an interaction term using labor income and insurance coverage shows that the sign of the coefficient of the interaction term is negative. This result brings about the fact that the size of insurance coverag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risky financial asset holdings if the level of labor income is low, but, if the level of labor income is high, the size of insurance coverage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risky financial asset ho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