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서울, 인천, 경기 등 2,300만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유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 환경정책기본법, 수도법, 한강수계상수원수질개선및주민지원등에관한법률 등에 의해 중복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규제는 그것이 지키려는 가치만큼 혹은 그 이상의 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유역 규제가 가지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회비용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Leontief의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한 분석은 세 가지 규제 시나리오와 수질규제기준을 바탕으로 실시되었는데, 분석 결과, 현재 팔당유역 규제는 경기도 전체에 적게는 1조3천억에서 많게는 2조9천억 정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팔당유역 수질규제기준이 1ppm 완화될 경우 이는 약 8조7천억 정도의 경제적 파급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Paldang-Area, which is the main water source for 23 million residents in the capital region, has been heavily regulated by multiple layers of laws. The main purpose of such tight regulations in the area is to protect water resource for the capital region. However, regulations can also incur opportunity cost as much as the value that they intend to protec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conomic impact of Paldang-Area regu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opportunity cost. The input-output model, developed and polished by Leontief,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ree scenarios and water quality standard. Each scenario assumes different levels of regulations for the Paldang-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size of economic impact of regulations ranges from 1.3 to 2.9 trillion won. In addition, if the water quality standard were lowered by 1ppm, the total economic activity in Kyungki Province can increase up to 8.7 trillion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