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육을 통한 지식 추구는 질 높은 인적자본 확보를 위한 핵심이며, 이것이 지식의 축적 및 전파를 책임지는 최고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원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대학원 과정을 통해 지식을 추구하고 있는 많은 학생들이 경제적・심리적 어려움에 처해있으며 이로 인해 고등교육 학문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는 사실이 여러 차례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정책적・학문적 관심이 학사학위 과정에 몰려있는 상황에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을 활용,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무엇이 대학원과정을 통한 지식추구를 어렵게 만드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선 학생과 성인으로서의 과업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는 특징 및 한국 학계의 구조가 학생들이 외부환경 및 사건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호 상충되는 대학원생 지원 정책 및 고등교육정책 가치의 충돌 역시 대학원생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빠지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진)와의 관계를 중시하게 만드는 풍토 역시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중요한 결과는 학생들이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경제적 어려움에 빠지고 그로 인해 학문에 정진할 수 없는 현실을 전적으로 학생 개개인에게 귀인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및 정책 마련을 통해, 대학원이 최고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suit of knowledge through education is essential for securing high-quality human capital, and this is the reason why graduate schools, the role of which is to accumulate and disseminate knowledge,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for nations’ development, In Korea, however, it has been continuously reported that a number of graduate students are suffering from both econom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which in turn could cause a decline in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actual problems of 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the cause of them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in this study. The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t first, the fact that students should accomplish tasks both as a student and a grown-up at the same time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respond actively to circumstances and events, along with the social structure of academia in Korea. Secondly, mismatch among policy values of finance support programs for graduate students was the reason of economic difficulties many graduate students in Korea are currently facing. At last, the cultural climate of Korea, that is, a strong belief that the positive relation with faculties is crucial in graduate courses, was the main cause of students’ practic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