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6개 노인복지관과 1개 사회복지관에서 3년간 실시한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인 ‘1․3세대 통합을 위한 한세대 만들기 프로그램’이 아동과 노인 세대의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와 친밀감 수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세대통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참여자 중 교육강사로 활동한 노인 223명, 학습자로 참여한 유아와 아동 1,687명의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와 친밀감 수준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조사하여 그 효과성을 평가하였으며, 노인, 아동, 부모, 교육기관의 장 각각 14명에 대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과 노인 세대 모두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하여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두 세대 간에 친밀감 수준이 의미 있는 정도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전통학습프로그램을 지도한 노인과 세대공동활동에 참여한 아동에게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우리 사회의 세대단절현상을 완화하고 세대간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과 같은 보다 다양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기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on the attitudes and intimacy between the elderly and children. The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232 old persons and 1,687 infants or children. The experimental programs was composed of 232 programmes focused on the education by the elderly and each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ree months and 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ttitude toward other generation of the elderly and children was changed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e intimacy between two generation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higher after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al programmes.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ous long-term intergenerational programme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