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자의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의 노동 공급측 요인과 수요측 요인으로 나누어 중․고령층(45~64세)을 대상으로 재취업 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 요인으로 인적자본요인, 노동시장요인, 제도적 요인(실업급여)으로 나누어 중․고령자의 재취업 가능성에 어느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중․고령자들의 고용지원에 관련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으로 인적자본이론이나 직업탐색이론, 노동시장분절론 등 어느 한 이론이 현실적으로 확고하게 부합되는 것이 아니라, 변수별로 각 이론의 논거에 부합되는 관계가 부분별로 나타나고 있으며 때로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인적자본 요인 중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족구성원수 등이 재취업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재취업 가능성이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중년층이 고령층에 비해 1.8배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동시장의 요인으로 이전직장의 임금수준과 고용형태 등이 재취업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계속되는 경기침체에 따른 구조조정에 기인한 고학력 근로자들의 대량실업 증가와 산업구조 변화를 일부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셋째 실업급여제도가 고실업시대의 적절한 실업대책으로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구직자의 생계안정을 통해 구직활동을 유인하는 실업급여의 기능이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determine which factors are critical to the reemployment of middle-aged and old people, this empirical study used a data from ‘The 4th Annual Korean Labor Panel(2001)' to determine which factors could determine their reemployment. By classifying the factors critical to their reemployment into human capital factor, labor market factor and systematic factor respectively, and subdividing whole subjects into middle-aged(45 to 54 years old) and elder group(55 to 64 years ol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implemented in empirical manner, which treats the status of reemployment. Secondly, the most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reemployment was the type of employment, followed by gender, unemployment allowance and pay. On the contrary to the results of foreign previous studies, thes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value of human capital had little impact on reemployment, while labor market factors showed considerable effects. For the people in irregular employment, the condition of labor market allocated by employment type and gender had more or less influence on the type of reemployment of job seekers. In addition, the fact that unemployment allow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ssibility of reemployment indicates that it goes on positive way to its original goal to facilitate re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