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생산적 활동 중 경제적 활동과 보살핌노동활동은 부적 인과관계를 나타낸 반면 사회참여활동은 정적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산적 활동 개념이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생활만족도에 있어 단일차원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Chow 검증한 결과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계수의 구조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생활만족도의 설명 요인의 차이에 대해 삶의 만족을 가져다 줄 수있는 심리적 요인이 도농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발견점은 노인들은 단체를 통한 자원봉사활동 보다 개별적인 자원봉사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한계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n the productiv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rural and urban elderly. Economic activities and caring labor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community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productive activities in life satisfaction has multidimensionality. Therefore, using multiple indicators to measure is inappropriate. And, according to Chow test, coefficients that describe the structure of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nd urban. The self-actualization needs of the elderly can be interpreted as due to be implemented differently, because of the different cultures of urban and rural areas. And, In life satisfaction, we have found that individual volunteer activity is more effective than volunteer through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