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S시 등의 4개 지역에서 2012년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 24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서비스를 실시하기 전․후의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서비스의 참여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민성길 외(2000)가 개발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가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후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20.599, p<.001). 삶의 질에 대한 각 하위요인 중에서 ‘사회적 관계’영역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체적 건강’영역과 ‘환경’영역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신․심리적 건강’영역은 다소 상승하였으나, 서비스 참여 전․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서비스가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년층을 위한 사회서비스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지자체의 자율성을 강화하여 지역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내지는 영양 및 운동 등 복합적인 관리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하는 등의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242 old people over 65 years who continued to participate in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for Elderly’ conducted as part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4 cities including S cit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tion by comparing their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In order to measure quality of life, it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QOL-BREF. The data assessment was made by SPSS 18.0 Ver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urned out as follow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turned out significantly improved as whole(p<.001). Looking into the sub-variables, we saw that 'social relationship' increased by 0.52, which showed greatest improvement among all the sub-factors. 'Physical health' and 'environment' were also see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by 0.46 and 0.09, respectively. Only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domain was increased slightly, it didn’t turn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original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be achi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