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노화 양상을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총 282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청년 집단은 평균 연령 20.7세의 132명이었고, 노인 집단은 평균 연령 72.09세의 150명이었다. 자기-보고 질문지인 대인 반응성 지수(IRI)의 두 가지 하위 척도인 공감적 염려 척도와 관점 수용 척도로 각각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을 측정하였다. 노인과 청년 집단은 인지적 공감 점수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서적 공감 점수는 노인이 청년보다 더 높았다. 이전 연구 결과들과는 달리,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특성 대 상태 공감의 관점에서 논의하였고, 그 제한점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differ across age groups in Korea. Total 282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wo age groups (132 young adults aged 18~27 years, M=20.70; 150 older adults aged 64~91 years, M=72.09) using a self-report measure of empathy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Participants completed two subscales of IRI: Empathic concern measure affective empathy, while perspective taking measure cognitive empathy. Older and younger adults were comparable with regard to cognitive empathy. Older adults scored higher on affective empathy relative to the younger adults. Contrary to previous findings,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rait versus state empathy distinc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