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정책참여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더불어 청소년참여기구(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소속 청소년 7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교차분석, ANOVA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들은 다양한 경험을 통한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참여기구에 참여하고 있었고, 참여기구에 대한 성취기대수준과 행정기관·부모·지도자의 참여활동에 대한 지원, 참여기구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참여를 통해 공동체의식 확대, 자부심 확대 등의 긍정적인 변화와 더불어 공부시간 부족, 의제를 정책화하지 못한 허탈감 등을 느끼고 있었다. 참여의 애로사항은 시간부족,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활동정보 부족의 순이었다. 앞으로 청소년 정책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참여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과 홍보 확대, 청소년정책 관련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청소년참여 의무화 및 각종 위원회에 청소년참여 할당제 도입, 청소년정책과 학교정책의 연계 강화, 다양한 지원 및 네트워크 구축 및 평가체제 확립 등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 participation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explore how to facilitate youth participation further. In order to do th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questionnaire methods were adopted. Surveys were distributed to 719 youths participating in youth participating organizations including Presidential Youth Congress, Youth Administration Committees and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s. The study results are the following: the main purpose of youths' participation was self-development through various experiences; nonetheless, it is not so high with regard to their own achievement expectation, the support level of administrators, parents and youth workers, and their satisfaction of activities in the committees. Also,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activities bring in both positive changes such as increa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and negative effects in terms of shortage of study time and limitation of activating policy agenda into actual policy. Their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clude lack of time, recognition, and information on the activities. In order to activate youth policy participation further, we need efforts on the overall change of social atmosphere, dissemination of publicity, obligation of youth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related with youth policy, youth allocation system in the related committees, strong cooperation between youth policy and school policy, enhancing supports, building networks, and establishing evalu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