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의 폭력은 매우 만연한 상태이며 특히 여자 청소년에 비해 남자 청소년의 폭력이 그 정도나 빈도에서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서구의 학자들은 대부분의 폭력이 남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남성이 남성성을 표출할 합법적인 수단이 제한될 때 자신의 남성성을 보여주기 위한 방편으로 폭력을 사용한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본 질적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폭력이 남성성의 어떠한 요인들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관해 연구했다. 본 연구는 미국 미네소타 주의 한 남자 청소년 교정 기관에서 입소했던 12명의 남자 비행청소년들과 충청북도 내 보호관찰소에서 소년 수강명령 대상자로 지정됐던 5명의 남자 비행청소년들과의 심층면접 자료, 교정기관과 보호관찰소에서 수집한 공식 문서를 연구 자료로 사용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업이나 직업적 성취, 지적 능력, 신체적 능력의 정도에서 합법적으로 남성성을 입증할 수 없는 남자 청소년들은 자신의 남성성을 표출하기 위한 방편으로 폭력을 사용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자신의 강함을 입증하기 위해, 그리고 가족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거나 친구 관계에서 의리를 지키기 위해 폭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울러, 남성다운 감정의 표출수단으로 폭력을 사용하기도 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남자 청소년 대상의 폭력예방 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논의가 제시된다.


Although violenc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men and masculinities, until recently the use of a gendered perspective has been something of a rarity in the context of research. This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male adolescent delinquents' masculinities influence their viole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design of phenomenology that enables the researcher to discover and interpret concealed meanings and essences embedded in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narrative. The data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 transcripts with 17 male adolescent delinquents and official records collected at a probation office in Chungbuk area in Korea and at a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y in Minnesota in USA.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male adolescents' violent behavior and masculinities may be fairly clear. The delinquents from lower-status background tended to depend upon violence to show their masculine competence, creating hierarchies in relation to others.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protect male adolescents from adherence to stereotyped masculinity, which is associated with violence.


Although violenc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men and masculinities, until recently the use of a gendered perspective has been something of a rarity in the context of research. This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male adolescent delinquents' masculinities influence their viole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design of phenomenology that enables the researcher to discover and interpret concealed meanings and essences embedded in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narrative. The data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 transcripts with 17 male adolescent delinquents and official records collected at a probation office in Chungbuk area in Korea and at a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y in Minnesota in USA.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male adolescents' violent behavior and masculinities may be fairly clear. The delinquents from lower-status background tended to depend upon violence to show their masculine competence, creating hierarchies in relation to others.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protect male adolescents from adherence to stereotyped masculinity, which is associated with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