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가족체계유형과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 사회적 발달과 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가족체계유형 중 가족응집성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지방소재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97명(남: 159명, 여:138명)의 고등학생이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족응집성, 자아분화, 우울 및 대인예민 간의 관계에서 가족응집성과 자아분화 간에 높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가족응집성과 우울 및 대인예민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가족응집성의 수준에 따라 자아분화, 우울 및 대인예민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응집성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서구의 연구결과들과는 달리 직선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과 대인예민에 대한 집단간 차이분석에서는 유리집단보다 밀착집단에서 우울이나 대인예민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족응집성을 예언변인으로 하고 자아분화, 우울 및 대인예민을 준거변인으로 하여 가족응집성의 영향력을 검토한 결과 가족응집성이 자아분화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족응집성은 서구나 국내에서 모두 청소년들의 자아분화와 심리․사회적 적응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나, 가족응집성의 수준에 따른 관련변인들에 대한 문화 간 차이는 가족구성원 간에 경험하는 관계의 질적 측면이 문화에 따라 서로 다름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ystem types,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97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family cohesion and self-differenti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ifferentiati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according to degree of family cohesion. That is family cohesion showed linear relations with self-differentiati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Lastly, for the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family cohe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