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 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의 남.여 학생들 272명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5.0과 AMOS 7.0 프로그램이 각각 사용되었고, 모델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의 구조적 관계의 검증 결과 모든 변인들이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의 상대적 설명력은 가정환경이 자아정체감을 가장 높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의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환경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environ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ego-Identity of adolescents. To verify the model, a self-report surveyed on 272 male and female k-university students who were residing in Taegu Metropolitan City. To statistically process the collected data, SPSS win 15.0 and AMOS 7.0 were used, and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one to verify the mod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 that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family environment factor,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ego-Identity affected in a direct and indirect way had been verified significantly. Second, the difference among variables such as ego-identity by the developmental stages in adolescence had been verified significantly, which affected in an order of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 self-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Therefore, the model which ego-Identity would be affected by perceived social support via self-efficacy as mediating variable was fitt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suggest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cognitive family environ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comprehe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