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감독과 청소년 음주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자료에서 중학생 2학년 패널의 2차년도(2,669명)부터 5차년도까지 자료를 사용하여 변수들 간의 종단적인 변화 관계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부모감독과 청소년 음주간의 상호관계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상호관계가 성별 및 가족구조별로 동일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감독과 청소년 음주간의 관계가 일방향(unidirectional)이 아니라 상호작용 과정을 보여주는 양방향(bidirectional) 관계로 나타났다. 부모감독에 대한 청소년의 초기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 음주행위 변화율이 느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주의 초기수준이 높을수록 부모감독의 변화율은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및 가족구조별로 다집단분석 결과, 성별이나 가족구조 유형과 관계없이 부모감독은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 음주가 부모감독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관계모형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한 상호작용적인 관점의 개입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idirectional relation between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 drinking. The data from Korean Youth Panel Study (2-5 wave) were used in this study. Latent growth curve model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parent monitoring and adolescent drinking was the bidirectional relation process. Evidences of reciprocal influences indicated that higher initial levels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monitoring predicted slower rates of increase in their adolescent drinking and that higher initial levels of adolescent drinking predicted faster rates of increase in parental monitoring over tim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and family structure in the bidirectional relation between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 drinking. These results pointed to the importance of a bidirectional view for adolescent alcohol problem approach and understanding about bidirectional process of parent and adolesc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