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양식(lifestyle) 측정에 적절한 도구로 평가된 Kern, Wheeler, 그리고 Curlette(1997a)의 생활양식 척도(BASIS-A)를 상담과 교육현장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ASIS-A를 번역하고, 청소년 454명에게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예비조사 후 문항분석을 통해 19문항을 제거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3개문항을 제거하여 총33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 Kern 등(1997a)의 연구와 같이 요인수가 5개(소속-사회적 관심 갖기: BSI, 타인에게 맞춰주기: GA, 주도권 잡기: TC, 인정추구하기: WR, 불안정성: BC)로 추출되었고, 50%의 비교적 양호한 설명량을 나타내었다. Cronbach‘s α는 .77로 신뢰도가 양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89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모형의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적합도 지수 χ2, RMSEA, NFI, CFI, GFI를 기준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RMSEA가 .056으로서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였고, NFI, CFI, GFI가 .87~.91로서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성격우선순위와 심리적 출생순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생활양식척도와 성격우선순위 간에는 대부분의 하위요인 간에 상관이 있었다. 생활양식척도와 심리적 출생순위 간의 상관에 관한 연구결과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basic adlerian scales for interpersonal success-A(BASIS-A) an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ventory. The PBOI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administered to 454 youth. The final version of the BASIS-A consisted of 33 item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pool of 65 items, leaving out 32 items with low factor loadings.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77. There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SIS-A(Basic Adlerian Scales for Interpersonal Success-A) and K-PBOI, suggesting good concurrent validity.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87 in BASIS-A.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BASIS-A has five factors structure represented: belonging/social interest, going along, taking charge, wanting recognition, being cautious. Structure of these factors was similar to the original five subscales of the BASIS-A.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and suggested that the BASIS-A was a reliable instr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