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 성소수자들 중 긍정적으로 성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통해 그 과정과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눈덩이 표집을 통해 모집한 7명의 청소년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과는 다른 나’, ‘사회라는 거울을 통해 바라본 나’, ‘성소수자로서의 나’라는 3개의 범주와 9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우리 사회에서도 성소수자들의 활동과 문화가 확대되어 다양한 정보와 커뮤니티가 활성화된 가운데,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다양한 통로를 통해 자신의 성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해 나갔다. 학교와 가정 등 사회에서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과 태도가 여전히 부정적이고 때로는 위협적인 현실에 부딪히면서 현실적인 고민들을 해나가게 되었다. 하지만 성소수자 커뮤니티와의 교류 속에서 자신의 성정체성에 대해 어느 정도 개방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가지고 성소수자로서의 삶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가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성소수자 문화의 확대와 이전 세대와는 다른 청소년 세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성소수자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understand how sexual identity is positively developed in sexual minority youth.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exual minority youths and the finding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exual identity processes fall into three categories: 1) I'm different from others, 2) I'm looking at myself through society, and 3) I, as a sexual minority. Multiple factors cause sexual minority youth to understand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s. As they see the attitudes of the straight majority toward LGBTQ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ed, Questioning)s at home and school, they begin forming seriously thought about their identity as a sexual minority. In addition, in their interaction with the LGBTQ community, they experience various relationships and begin to actively hew out a life for themselves. These results show the spread of LGBTQ culture in our society and the change of younger generation. Based on the results some advice is suggested for policy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