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예기사회화 과정에 있는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의 사이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우울과 불안, 자아존중감 요인이 어떠한 인과관계의 영향력으로 설명이 될 수 있는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중부권 지역인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기 후기의 대학생들이다. 연구방법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Cronbach's α 계수 산출, 상관분석을 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지수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모수추정치, 결정계수, 공분산행렬에 관한 값을 산출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과 예언변수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외생변수인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은 사이버 중독에 직․간접적인 관계의 영향력을 미치고,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그 관계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ssociation between facts, especially depression, anxiety & self-esteem and cyber addiction of undergraduate in the late adolescence during the anticipatory socialization process using structural equating model(SEM).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located from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in middle area of Korea, who were on the process of expected socialization for adaption in a future society. As for a research method, SPSS win 18.0 was employ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alculation for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correlation. Als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ructural equating model(SEM) seeking for the most appropriate measurement variable in refining procedure. After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o evaluates the fit index of the research model and calculating of parameter estimat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covariance matrix by using AMOS 18.0, path analysis of causal relation among variables and effect of prediction variables were confirmed. The results of SEM analysis provided that late adolescence' depression and anxiety influenced cyber addiction directly, as a parameter, self-esteem had in-directive relation with cyber ad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