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공포증 경향성자의 자기초점적 주의가 기억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공포증 경향성자에게 자기초점적 주의를 유발한 후 내현적 기억편향과 외현적 기억편향을 살펴보았다. 내현적 기억은 순간노출단어 명명과제를 통해, 외현적 기억은 재인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어자극은 긍정적 단어와 부정적 단어로 구성하였다. 부정적 단어자극은 사회공포증을 가진 사람의 두려움의 특징인 ‘부정적 평가’와 ‘불안증상’에 관련된 단어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내현적 기억과제에서 자기초점적 주의를 유발한 집단이 유발하지 않은 집단보다 외부의 부정적 평가와 관련된 단어에서 더 큰 기억편향을 보였다. 반면에 외현적 기억과제에서는 모든 단어조건에서 두 집단 모두 기억편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불안증상 관련 단어에서는 집단 간 기억 편향의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초점적 주의가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켜 기억편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며, 사회공포증이 다른 불안장애와 달리 개별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memory bias in social phobia-prone late adolescent individuals. After inducing self-focused attention to social phobia-prone individuals, we examined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biases. Using an tachistoscopic word identification task, we assessed implicit memory. Explicit memory was assessed by recognition task. In these tasks, three types of word stimuli were selected; positive words, negative words, neutral words. Negative word stimuli consisted of the threatening words that have the meaning of 'negative evaluation' and 'anxiety symptom' related to social phobia. Self-focused attention group shows implicit memory bias for the negative word stimuli. However two groups didn't differ in explicit memory performance for the all word stimuli. Also, two groups didn’t differ anxiety symptom related word stimu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phobia shows distinct symptoms that distinguish itself from other anxiety disorder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