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효 인식의 검토를 통해 실생활에서 효를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인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들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사례연구 접근을 활용하여 범주화 분석과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범주화 분석의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효 개념에 대한 인식으로는 청소년들은 효를 윗사람을 잘 모시어 받들고, 공경하고, 돌보는 ‘섬김’이라고 인식하였다. 하위범주로는 ‘자녀의 도리’, ‘부모에 대한 보답’, ‘마음을 헤아림’, ‘외연 확대’가 포함되었다. 둘째, 청소년들의 효 경험에 대한 인식으로는 ‘세대 공감’과 ‘모델링’이었다. 세대 공감에 포함되는 하위범주는 ‘직접 행동으로 보여줌’, ‘현실 갈등’, ‘세대전승’이었고, 모델링에는 ‘솔선수범’, ‘학교교육 본보기’, ‘매스컴 본보기’가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셋째, 청소년들의 효 실천방법에 대한 인식의 결과는 ‘실천궁행’이었다. 여기에 해당되는 하위범주로는 ‘마음가짐’, ‘배움’, ‘행함’, ‘효를 중시하는 사회풍조’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주제 분석의 결과, ‘근본에 보답’, ‘소통의 다리’, ‘수양의 발현’이라는 3가지 주제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생활에서 효를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인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a review of awareness on filial piety of adolescents is to provide practical intervention plan in real lif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17 high school students and categorization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utilizing qualitative case study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categorical analysis, first, as adolescents' awareness on the concept of filial piety, adolescents recognized as 'serving' attending, respecting and caring for elders. Second, adolescents' perception on the experience of filial piety was 'intergenerational empathy' and 'modeling'. Third, adolescents' awareness about how to practice filial piety was revealed 'the match of thought and action'. Next, the results of thematic analysis, three topics were identified as 'recompense to the root', 'bridge of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self-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e intervention plans for practicing of filial piety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