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지역에 소재 19개 아동양육시설의 중·고교생 294명이며,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인구학적 특성 등을 파악하고자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독립변수의 다중공선성 진단을 위해 피어슨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가출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59.5%가 가출경험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 변수 중에서 성별, 형제유무 변수가 가출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요인을 추가하였을 경우, 자아존중감 변수가 가출경험에 유의한 영향으로 주었고, 학교교사관계, 학교또래관계가 가출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설요인이 추가되었을 때 인구학적 요인에서는 형제유무가, 심리적 요인에는 자아존중감이 그리고 학교요인에서는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미하였으며, 시설요인에서는 또래지지, 시설생활스트레스 변수가 가출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가출예방을 위한 개입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alities of runaway of youth in the residential out of home care and define the factors affecting runaway of them. For the research, total 294 adolescents living in the residential out of home care recruited in Pusan.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59.5% of the adolescents having experiences of runaway from the residential facility. Second, Among demographic variables sibling factor affected runaway experience of youth in residential out of home care. Third, in case of inserting the school variables into the regression test, self esteem, teacher-student relation and school peer relation affected the runaway. Forth, in case of inserting the facility variables into the test, sibling, self esteem, teacher-student relation, peer relation in the facility and stress in the facility affected the runaway.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discussed with the intervention methods to the runaway of youth in the residential out of home care and a follow-up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