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초기 성인기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용서신념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317명의 20대 남, 녀 청년이었고 측정도구로는 정서적 외상 질문지, 부정적 용서신념 질문지, 역기능적 분노표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외상, 부정적 용서신념, 그리고 역기능적 분노표현 사이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이 제시되었고, 구조방정식모형의 통계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사이를 부정적 용서신념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적 모형은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mediation in which negative forgiveness beliefs would play a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isfunctional anger exepression. A total of 317 20s people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hood emotional trauma quetionnaire, negative forgiveness beliefs questionnaire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among childhood emotional trauma, negative forgiveness belief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co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hood emotional trauma accounted for significant variance in negative forgiveness belief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rel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negative forgiveness belief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