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과 스트레스 반응, 주관적 웰빙, 삶의 동기 및 기대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두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학생 448명이었으며, 연령은 15세에서 19세(M=16.54, SD=.73)까지 분포되어 있다. 분석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잠재적 위험군은 일반 사용자보다 스트레스 반응을 더 많이 보였고, 인터넷 게임 고위험군은 잠재적 위험군보다 스트레스 반응을 더 많이 보였다. 또한 인터넷 게임 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일반 사용자보다 부정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인터넷 게임 고위험군은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보다 삶의 동기 수준이 낮았고, 일반 사용자보다 삶에 대한 기대도 적었다. 스트레스 반응과 주관적 웰빙 그리고 삶의 동기 및 기대는 각각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21.8%, 4.7%, 6.0% 가량을 설명하고 있었다.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및 삶의 동기간의 관계를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stress responses,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motivation/expectancy. Participants were 448 mal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two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its suburb, whose ages ranged from 15 to 19 (M=16.54, SD=.73). Results indicated that potential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showed more stress responses than normal users, and highly addicted group showed more stress responses than potentially addicted group. Potentially addicted group and high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had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than normal internet users. High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were less motivated to live than potentially addicted group and normal internet users, and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han normal internet users. Each of stress responses,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motivation/expectancy accounted for around 21.8%, 4.7%, and 6.0% variance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It was discussed the relations of internet game addition to stress responses and life motivation with findings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