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생물학적 변인인 감각추구성향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지방 도시의 6개 초등학교 5, 6학년 53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감각추구성향, 부․모와의 의사소통, 학교폭력 가해경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의 감각추구성향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대해 아동의 감각추구성향과 모 의사소통 변인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셋째, 모 의사소통 변인은 남아의 감각추구성향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의 생물학적 변인인 감각추구성향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남아의 가해경험은 어머니와의 폐쇄적 의사소통과 같은 사회화 요인이 조절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hildren's sensation seeking on school violence and examined if communication with parents shows moderating effects. The participants, who were 535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of six elementary school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ren's sensation seek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nsation seeking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econd, children's sensation seeking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show similar relative influences on experience of committing a school violence. Third, the variable of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while boy's sensation seeking have an influence on experience of committing a school violence.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children's sensation seeking, biological variables of children, has an effect 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socialized factors like communication with mother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at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