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갈등관리 유형, 언어적․문화적 특성에 관해서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한국의 대학생(남 167명, 여 120명), 중국의 대학생(남 157명, 여 131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척도, 갈등관리 유형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갈등관리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test결과, 한국대학생이 중국대학생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갈등관리 유형에서는 한국대학생들은 협력형, 타협형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인 반면, 중국대학생들은 회피형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의사소통능력과 갈등관리 유형간의 다중회귀분석결과, 한국과 중국대학생들은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갈등관리는 ‘협력형’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과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은 ‘대인관계 능력’이 높을수록 ‘경쟁형’을 선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대학생들은 ‘대인관계 능력’이 높을수록 ‘경쟁형’을 선호함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이 한국과 중국의 향후 언어적․문화적 교류에서 상호이해 및 우호관계가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시사점과 연구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communicative abilities,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linguistic and cultural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ere investigated. Communicative ability scale and conflict management scale were conducted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167 males, 120 females)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157 males, 131 fema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as the result of T-test, Korean student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the communication. In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Korean students showed the meaningful explanation skill in cooperation and compromise types whereas Chinese ones in evasion type. Secon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conflict management type represented the higher communicative ability became in both countries' students, the more conflict management was likely to be cooperation type. Third, in the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conflict management, the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y Korean college students showed, the less they preferred competition type while Chinese college students preferred competition type when they showed better compet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Last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