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양한 실천현장과 학계에서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 및 진행되어 오고 있는 다문화 프로그램의 연구경향과 이와 관련한 문헌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2007년부터 2012년 상반기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아동·청소년 대상 다문화 프로그램 관련 논문 총 44편을 분석하였다. 논문들의 동향 분석 결과, 다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2007년에 출현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고, 다양한 학문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었다. 총 44편의 논문들은 연구 내용에 따라 3가지 유형, 즉「프로그램의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10편),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11편)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험연구」(23편)로 분류되었다. 위와 같이 분류된 논문들은 유형별 특성이 고려된 개별 분석항목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되었다.「프로그램의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시 장소 등이 상이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인력의 전문성 부족, 경쟁적인 프로그램 개발, 중복지원 및 일회성 프로그램의 실시 등의 문제점이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와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험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다문화 가정 자녀의 참여율이 일반가정 자녀보다 낮았다. 특히「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험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대다수의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교사와의 관계와 학습능력 향상에 있어서는 효과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위와 같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확대, 프로그램 실시 장소로서 학교 활용의 활성화 및 초등학생을 위한 척도 개발의 필요성 등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udies on multicultural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44 studies which published from 2007 to 2012 in Korea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trends of the publications and publishers shows that research on multicultural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increasing in various publishers from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Second, the studie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scriptive studies(10 studies), program development(11 studies), and intervention studies(23 studies). Third, categorized studies analyzed in detail based on the analysis factors. 「Descriptive studies」 criticized the lack of professionals, double support, and one-time programs. 「Program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studies」 found that most programs have bee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hildren from mutlicultrual families are less likely to receive the services than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Most of the goals of multicultural programs were met. Howeve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show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gram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the learn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including developing a program for adolescents, using a school as a place for multicultural programs, and developing a scale for children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