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끼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하고 그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 266명이었다(중학생이 146명, 고등학생이 120명). 사용된 검사 척도는 부적정동, 우울, 스트레스대처, 강인성, 학습동기, 진로탐색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학교적응 척도였다. 연구 결과 부적정동과 정서중심적 대처가 학교적응을 저하시키는 위험요인이었고, 학습동기, 강인성, 사회적 지지, 문제중심적대처가 학교적응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보호요인이었다. 또한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해서는 이중과정모델과 양극성 모델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에어백 모델과는 달리 보상모델도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한계로 가정적 요인이나 환경 변인 등 변화와 수정이 가능한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들이 배제된 점이 제시되었고, 추후연구에는 보호요인의 다차원성을 구체적으로 고려해야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through risk and protective relationship modeling. To identify the effects, sample of 26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46 middle and 120 high) completed Negative Affectivity, Depression, Stress Coping, Hardiness, Career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Scale. As a results, negative affectivity and emotion-focused coping was a protective factors. Also, hardiness, learning motivation, social support, problem-focused coping was a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air bag model might be effective for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Finally,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social variables and multi dimensionality of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