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극추구 기질과 관련된 성격강점의 불균형적 발달이 청소년의 외현화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둘의 관계에서 정체감형성 유형과 심리사회적 성숙도가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자극추구 기질 관련 성격강점의 불균형이 부정적인 정체감유형과 심리사회적 미성숙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외현화 부적응행동으로 발현된다는 발달모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31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불균형과 외현화 부적응의 관계에서 정체감형성 유형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극추구 기질 관련 성격강점의 불균형과 외현화 부적응행동 사이에서 ‘회피지향 정체감’과 ‘긍정적 사고의 미성숙’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청소년의 외현화 부적응행동에 대한 이해와 치료에 시사한 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언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novelty-seeking related character strengths on the adolescent externalizing maladjustment behavio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dentity formation style and psycho-social maturity on the above relationship. In order to reassure the developmental model concerning character strengths, identity formation styles, psycho-social maturity and adolescent maladjustment behavior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the 313 adolescent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oidant style of identity formation and the immaturity of positive think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character strengths and adolescent externalizing maladjustment behaviors.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author discussed this study's implica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dolescent externalizing maladjustment behaviors in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mann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