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청소년 대부분이 비속어, 은어를 사용함에 따라 청소년의 언어 일탈 현상이 보편화, 일상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그러한 현상이 청소년기에 주로 나타나는 문화적 일탈 현상인지 아니면 청소년기 이후에는 새로운 언어문화를 경험할 것인지를 천착하기 위하여 세대론적 관점, 문화론적 관점, 발달론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론적 관점에서 불 때 청소년기의 언어 일탈 현상은 한 세대가 또 다른 세대로 성장하면서 사회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관과 언어문화를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한 세대가 갖는 언어문화는 자연스럽게 다른 세대로의 성장을 통하여 변동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둘째, 문화론적 관점에서 우리 청소년의 삶은 학생 청소년이라는 정체성에 갇혀 문화 생성의 주체화가 쉽지 않아 일부 비속어, 은어 등은 성인세대로부터 유입된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이 사용하는 비속어, 은어 등의 사용에 대한 책임이 반드시 청소년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 셋째, 발달론에 근거할 때, 청소년기는 과도기적 존재로 발달단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정서적 혼란 등으로 언어 일탈의 성향을 갖는 것이 사실이다. 기성세대는 그러한 현상을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확대하여 청소년을 미성숙한 존재로 규정하는 이데올로기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청소년기 언어 일탈 현상이 성장과정에서 경험하는 통과 의례적 문화임을 밝히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Since most of adolescents use slang and jargon, adolescents' verbal deviance phenomenon is universalized and generalized. Hereupon,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matter whether such phenomenon is cultural deviance phenomenon which appears mainly in an adolescent period or no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the viewpoint of generation theory, viewpoint of culture theory and viewpoint of development theory.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viewpoint of generation theory, adolescents' verbal deviance phenomenon occurs while one generation grows to another generation and shares new values and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with sociocultural environment. Due to this characteristics, the language culture of one generation naturally undergoes process of changing. Second, in viewpoint of culture theory, our adolescents' life is locked by the identity of student adolescent and subjectivation of cultural creation is not easy, so that some of slang and jargon are flowed in from the adult generation. Third, on the basis of development theory, the adolescent period actually has the tendency of verbal deviance due to the psychological․emotional confusion which they experience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s the transitional existence. However, such image tends to be intensified negatively and used as a means of control by the older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