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재수생의 외상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반추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입시기숙학원 남․여 50명, 경기도 L시에 소재한 입시기숙학원 남․여 250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척도, 우울척도, 반추척도를 실시하였다. 재수생의 외상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재수생의 외상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입시 실패로 인한 우울감, 재수기간 동안의 불안감, 재도전 실패에 대한 공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지속적인 우울을 겪고 있는 재수생을 상담할 때, 입시실패라는 외상경험에 대한 반추를 하지 않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whether or not rumin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depression among repeat candidat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traumatic experience scale, depression scale and rumination scale with 50 boys and girls from a preparatory boarding school for examinees in Y city and 250 boys and girls from a preparatory boarding school for examinees in L city, Gyeonggi Province. The mediating effects test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depression among repeat candidates. The results showed that rumin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ounseling with those repeat candidates who experience continuous depression, it is necessary to help not to ruminate on traumatic experience like enterance experience failur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