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2 패널 데이터 중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에 해당되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총 3개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일반계고 및 특목고 고등학생의 진로 미결정 변화를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성별, 직업 외적가치, 진로상담 효과 만족도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로 미결정이 선형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영향 요인의 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진로 미결정의 초기치에서는 남자 고등학생이 여자 고등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고했지만, 진로 미결정의 변화량에서는 성별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직업 외적가치는 진로 미결정의 초기치를 증가시키고 변화량을 감소시켰다. 셋째, 진로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진로 미결정의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 등 추후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career indecision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ver time, while verifying the effects of variables affecting such change, namely gender, extrinsic job values, and satisfaction of career counseling effectiveness. Latent Growth Model was utilized and a three-year longitudinal panel data was gathered which consisted of responses from 2344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he results found that career indecision showed linear decrease over time. At the initial stat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indecision compared to female students, but gender did not affect the change amount of career indecision. Extrinsic work value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at the initial state and decreased the change amount of career indecision, whereas satisfaction of career counseling effective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and increased the change amount of career in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