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을 통해 일상의 대인관계문제를 예측하는 심리적 과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경기도와 서울시에 소재하는 네 개의 중학교 1~3학년생 총 412명을 대상으로 4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가설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은 대인관계문제를 부적으로 직접 예측하였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을 각각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은 일상의 대인관계문제를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거절민감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다섯째, 부모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대인관계문제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기에 부모와 관계에서 신뢰, 정서적 보살핌, 원활한 의사소통을 많이 경험하는 청소년일수록 자신의 존재가치에 대한 수치심을 적게 느끼고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거절 행위에 대해서 덜 민감하게 반응함을 나타내는데, 이렇게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안정되고 자기수치심 및 거절민감성이 낮을수록 일상의 다양한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적게 경험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의 교육적, 상담적 의의와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predi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both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412 middle schoolers in areas of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negatively predicte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parental attachment negatively predicted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respectively. Third,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positively predicted interpersonal problems, respectively. Fourth, internalized shame positively predicted rejection sensitivity. Fifth, parental attachment predict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sequ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re trust, affectionate care, and comforting communication experienced in parental relationship, the less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reported, which in turn predicts less interpersonal problems in adolescence. Education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by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