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육군 장병을 대상으로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불안 및 회피 애착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전방사단)와 충청북도(후방부대)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병사 495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사회적지지, 군생활만족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모형 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연구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애착과 군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회피애착과 군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 장병의 불안애착 유형, 회피애착 유형이 군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주요안 변인임을 알려줌과 동시에 군생활 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적 지지에 있어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군 상담 현장에서 필요한 구체적 방안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n the basis of attachment theory and prior studies,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d tha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would affect military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A sample of 495 soldiers was employed.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And also,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limitary life satisfaction. Therefore, perceived social support can be a key variable that affects the adult attachment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of soldiers and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Finall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