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청소년들이 겪는 외상후 스트레스를 설명하기 위해 현재 학업과 가족문제 스트레스의 영향과 자존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인구통계학적 변인, 남한 거주 기간, 부모와의 동거 여부, 및 강제 북송 횟수 등을 통제한 후 스트레스와 자존감의 설명력 및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3~24세 탈북청소년 380명으로 남 170명, 여 210명이었고 평균 남한 거주 기간은 29.35개월(SD=26.06)이었다. 측정도구로는 탈북청소년용으로 제작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정신건강검사 중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척도, 낮은 자존감 척도, 학업 스트레스 척도, 가족문제 척도를 사용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별이 2%, 북송 횟수가 추가적으로 5.7%의 설명량을 보였고, 이를 통제한 후에도 학업 스트레스, 가족문제 스트레스 및 낮은 자존감이 30.4%의 설명량을 추가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에 대한 강력한 예측 요인이었다. 회귀분석의 최종 단계에서는 자존감의 주효과, 학업 스트레스 × 가족문제 스트레스의 이원 상호작용, 그리고 자존감 × 학업 스트레스 × 가족문제 스트레스의 삼원 상호작용이 유의미했으며, 이 단계에서 성별, 북송 횟수, 학업과 가족문제 스트레스는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추가 설명량은 1.2%로 크지 않았다. 이 결과는 외상후 스트레스에서 자존감, 학업 스트레스 및 가족문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특히 자존감이 주된 역할을 하며 여러 스트레스를 일부 조절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family problem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order to explain post-traumatic stres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n South Korea. These effects were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some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ag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paration from parents and duration in South Korea, and frequency of forced repatriation. The study consisted of 380 adolescent participants with a mean duration of stay in South Korea of 29.35months(SD=26.06), aged 13-24(170 males, 210 females). The measures wer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low self-esteem, academic stress, and the family problems subscales of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explained 2% of the variance, and frequency of forced repatriation explained additional 5.7% of the variance. Low self-esteem, academic stress, and family problem stress were very strongly influencing factors contributing to an additional 30.4% of the variance after controlling these effects. The main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interaction among self-esteem, academic stress, and family problem stress were significant at the last step of regression but gender, frequency of forced repatriation, academic stress, and family problem stress were no longer significant. But the interaction explained only an additional 1.2% variance. Our study suggests that self-esteem, academic stress, and family problem stress play a significant role i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self-esteem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nd may moderate some str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