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가정의 심리적 환경,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 참여 간의 상호 관련성과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 참여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은 서울, 인천, 부산에 소재한 7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총 85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대인관계, 개인성장, 체제유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및 학교 참여(행동참여, 인지참여, 정서참여) 척도이었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가정의 심리적 환경,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 참여는 상호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본심리욕구를 거쳐 학교 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를 만족시키고, 이들의 학교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부모가 가정의 심리적 환경을 보다 긍정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학교 참여 증진 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mily environment (i.e., F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PNS), and the school engagement (SE), and to explor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BPNS and SE. Of the 900 fifth to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Busan, and Incheo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a total of 851 students (94.6%)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s. Measures of students’ FE (i.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growth, and system maintenance), BPNS (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SE (i.e., behavior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emotional engagement) were obta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 BPNS, and 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FE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both BPNS and SE. Also, FE had an indirect effect on SE through BPN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foundational resources for developing ways of enhancing students’ school eng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