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폭식 행동을 설명하는 완벽주의, 신체불만족, 자존감의 3요인 삼원상호작용 모델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이 모델을 검증한 후속 연구들에서 예측과 다른 결과를 낳게 하였던 자존감 요인을 보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모델의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 2요인에 제 3요인으로 일반적 자존감 대신 명시적, 암묵적 자존감과 조건부 자기가치감의 두 대안적 자존감을 도입하여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여고생 417명의 자료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신체불만족, 명시적 자존감(전반적 자존감)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고, 명시적 자존감이 일종의 보호요인 역할을 하였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신체불만족, 명시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의 사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명시적 자존감이 낮고 암묵적 자존감이 높은 경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 때 신체불만족이 높으면 폭식행동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신체불만족이 낮으면 폭식 행동이 크게 감소하였다. 셋째, 폭식에 미치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의 상호작용 영향에서 외모 및 타인승인 조건부 자기가치감의 조절효과는 타인승인 조건부 자기가치감에서만 유의미하였다. 논의에서는 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상담 및 치료장면에서의 시사점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mprove the three factor interactive model of perfectionism,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 esteem in predicting binge eating by using new variables with alternative construct of self-esteem. Thus, present study examined interactive effects of perfectionism, body dissatisfaction, explicit self esteem, implicit self esteem and contingent self worth. The data collected from 417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were analyzed wi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ody dissatisfaction, explicit self esteem on binge eating was significant and explicit self esteem acted as a buffer from development of binge eating. Second, binge eating the four-way interaction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ody dissatisfaction, explicit self esteem and implicit self esteem was significant. The predictive effect of interaction were as follow. On occasion of higher explicit self esteem and higher implicit self esteem with higher perfectionism and higher body dissatisfaction, binge eating was increased. Third, moderating effects of appearance and other's approval contingent self worth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ody dissatisfaction and binge eating were significant on occasion of other's approval contingent self wor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