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아동기 시절에 경험한 가정폭력 경험과 학대피해경험이 아동학대 심각성 인식에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학대예방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 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4년 5월부터 9월에 걸쳐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69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시절의 학대경험(가정폭력 경험과 학대피해 경험), 아동학대인식, 아동학대예방교육 여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학대예방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보육교사들이 아동기 시절에 경험한 학대 경험 즉, 부모의 폭력 목격 및 직접적 학대경험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심각성 인식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아동학대예방교육과의 상호작용효과로 아동학대 심각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도를 높이고 강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방안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impact of childhood experiences with domestic violence, childhood abuse,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harm experienced child abuse, child care teachers: focus on moderating effects of abuse prevention training. For this purpose, from May 2014 to September we had conducted a survey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areas throughout the game. A total of 169 responses to the survey data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PSS 18.0 for Window. In the study revealed through this study, childhood experiences of violence and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has been found that caregivers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of childhood when woke abuse or have experienced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the teacher the more show less child abuse awareness, child abuse is awareness that is low means that not aware enough about child abuse and insensitive to abuse Nursery teacher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of an act of child abuse. In addition, verifying also been moderating effects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even when this childhood abuse are higher awareness of child abuse when subjected to child abuse prevention training. In other words, child abuse prevention training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tool to strengthen that raise awareness of child abuse in child 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