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섭식기대와 자기조절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데 있다. 대구·경북권의 대학생 632명(남=196, 여=436)을 대상으로 폭식행동, 섭식기대, 자기조절 척도를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섭식기대는 폭식행동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자기조절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섭식기대와 자기조절은 폭식행동에 서로 상호작용 하였다. 즉, 섭식기대 수준이 높고 자기조절 수준이 높으면, 폭식행동 수준이 낮았고, 섭식기대 수준이 높고 자기조절 수준이 낮으면 폭식행동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폭식행동을 설명하는데 주를 이루었던 섭식절제와 정서섭식 외 섭식기대가 폭식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섭식기대가 폭식행동의 예측변인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조절력을 강화함으로써 폭식행동을 완화 혹은 억제시킬 수 있다는 치료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explore that eating expectancy and self-regulation are related with binge eating behavior, 2) identify the influence of eating expectancy on binge eating behavior was moderated by self-regulation. 632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Binge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Eating Expectancy Inventory and Self-Regulation Sca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eating expectancy w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binge eating behavior and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binge eating behavior. An interaction between eating expectancy and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 of study indicate that eating expectancy has effectively predicted binge eating behavior. It found a therapeutic implication such that binge eating behavior can be reduced by enhancing self-regulation. Lastly,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