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 positive view of self is a critical element for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positive self-view on psychological functioning may differ depending on cultural contexts. Prior cross-cultural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positive self-regards bear greater importance for Westerners compared with non-Westerners. The present study further extends this line of research by examining adolescents in two cultural contexts that differ in the emphasis on positive self-view, the United States (n = 1002) and Korea (n = 393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distress across cultural groups was examined.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American adolesc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an Korean adolescents did. Moreover, positive self-regard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ress as assessed by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xiety, anger) for American adolescents compared with Korean adolescents. Consistent with previous literatur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ositive self-regard has different effects in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cultural contexts.


자아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은 심리적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아관은 문화적 맥락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자아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그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기존의 비교문화연구에 따르면, 자아에 대한 긍정적 관점, 즉 자아존중감은 동양인들보다 서양인들에게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인들을 대상으로 했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자아관, 그리고 이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다르다고 알려진 두 문화권, 미국 (n = 1002)과 한국 (n = 3933)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부정적 정서 (우울감, 불안감, 분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관되게 미국 청소년들은 한국 청소년들보다 더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정서는 두 문화권 모두에서 부적 관계를 보였지만, 그 정도는 미국 청소년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 결과가 청소년의 심리 건강을 담당하는 교육자, 상담자, 부모들에게 함의하는 바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