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자극추구 성향과 또래동조성이 성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자극추구 성향이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또래동조성의 하위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대구, 춘천, 안산에 있는 보호관찰소와 대안교육센터, 소년원에 방문하거나 재소하고 있는 비행청소년 270명(남학생 243명, 여학생 27명)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성비행 척도, 자극추구 성향 척도, 또래동조성 척도, 성비행 동조 척도로 구성된 일련의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얻어진 자료는 SPSS 20.0, AMO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극추구 성향은 성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또래동조성을 통해서도 성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자극추구 성향이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반사회적 동조에 따라서는 유의하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성적 동조에 따라서는 유의하게 달라졌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성범죄에 대한 예방, 지도, 상담 프로그램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plore how sensation-seeking and peer conformity of adolescents were associated with sex delinquency.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ensation-seeking tendency would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sex delinquency according to types of peer conformit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0 juvenile sex offenders (243 males and 27 females) in a probation office, a youth detention center, or an alternative education center in Daegu, Chooncheon, and Ans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ries of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the sensation-seeking tendency, the peer conformity, and the sex delinquenc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used to explore the mediation effect of peer conformity in the relation between sensation-seeking tendency and sex delinquency. As results, sensation-seeking tendency and peer conform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ex delinquency. Whereas anti-social behavior conformity did not mediate between sensation-seeking tendency and sex delinquency, the sex conformity had a mediation effect between sensation-seeking tendency and sex delinquency.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counseling program for juvenile sex off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