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특성과 자살사고 및 자해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우울과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그 관련성을 정교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87명에게 기질검사(TCI의 기질척도), 자살사고 척도(SIQ),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고 자해경험 유무에 응답토록 하였다. 상관분석에서 TCI의 위험회피 기질은 자살사고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 기질은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나, 우울과 성별을 통제한 회귀분석에서는 위험회피 기질만이 자살사고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자해경험 유무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순 로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회피 기질이 자해경험 유무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으나, 우울과 성별을 통제하였을 때 위험회피 기질은 자해경험 유무를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질이 자살사고와 자해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emperamental triats, suicidal ideation and self-harm and elucidate the relationships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d gender. In this study,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 CES-D), and one question about experience of self-harm were administered to 187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suicidal ide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rm avoidanc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d gender, only harm avoid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e results of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harm avoida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experiences of self-harm.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d gender, harm avoida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xperiences of self-harm. The effect of temperament on suicidal ideation and self-harm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