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위험회피 기질과 자극추구 기질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내재화 문제는 위험회피 기질이, 그리고 외현화 문제는 자극추구 기질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을 대상으로 중다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 명료성 부족과 정서조절전략 접근 제약은 위험회피 기질과 내재화 문제, 그리고 자극추구 기질과 외현화 문제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동통제곤란은 자극추구 기질과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가장 큰 간접효과를 보였다. 이는 정신건강에 취약한 기질적 특성을 보일지라도 개입을 통해 정서에 대한 명료성을 높이고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양한다면, 기질적 취약성이 정서 및 행동 문제로 나타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높은 자극추구 기질을 갖고 있고 동시에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개입에 있어서는 충동적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temperament(HA) and internalizing problems and between novelty seeking temperament(N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Korea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342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ultiple mediation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lack of emotional clarity and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 and internalizing problems and between NS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dition, impulse control difficulties showed the largest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S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raining in emotional clarity and educating variou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uld b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itigating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especially for those who have vulnerable temperaments to mental health problems. Moreover, training the controllability to regulate impulsive behavior could be a prior intervention strategy for adolescents who have high NS and simultaneously shows externalizing problem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