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동조성과 SNS 사용정도 및 인식에 따라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3개 중학교 1,2,3학년 남녀 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사용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또래동조성, SNS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은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에 따른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은 2학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동조성은 SNS 사용정도, SNS 긍정인식,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한편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은 SNS 긍정인식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SNS 부정 인식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SNS 사용을 많이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또래동조성 및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집단이 또래동조성 및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SNS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낮은 집단이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또래동조성과 SNS 사용정도에 따른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을 분석한 결과, 또래동조성의 주효과 및 또래동조성과 SNS 사용정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SNS 사용정도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동조성과 SNS에 대한 긍정인식, 부정인식에 따른 검증 결과 역시 또래동조성의 주효과만 유의했다.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의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신체형에서 또래동조성과 SNS에 대한 긍정인식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SNS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집단에서 또래동조성이 높을수록 집단따돌림 신체형 가해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peer conformity and SNS activity affect bullying among adolescents. We polled 355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in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tend to be substantially more active SNS users than male students;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view SNS significantly more negatively and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bullies.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bullying students in different school years was highest among second year students. Second, groups of SNS users who were more active in using SNS were more likely to show peer conformity and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a bully. Groups of students who said they felt more positive about S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eer conformity and bullying experiences; student groups who held less negative opinions on S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roup bullying experience. Third, our comparison of peer conformity and group bullying experience against SNS activity revealed that the main effect of peer conformity as well as peer conformity itself do not significantly interact with SNS activity but they do with the main effect of SNS activity. However, when analysis was performed for bullying subgroups, peer conformity and positive perception on SNS showed a interactive effect on physical bullying. The paper discusses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