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변화에 있어 개인차에 대한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까지 동일한 학생 3449명을 4년간 추적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KYPS)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은 현시점의 자기통제력 수준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은 자기통제력의 발달적 변화에도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부모와 교사로부터 관심과 애정을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상황에 맞게 자신을 적절히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이며, 자기통제력을 발달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 자기통제력의 종단적 변화 양상과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In this study, estimating change rates of adolescents' self-control and was tested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t was analyzed 4-year longitudinal data(N=3449), whose data was take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Cohorts of middle school 2nd graders) employing hierarchical growth modeling. I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cross the four years and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initial self-control level. Also parent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showed positive effects on change rates of self-control over time. This result means that concern and love of parent and teacher effects positively self-control of youth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